본문 바로가기

Partner Artist

숨 무브먼트 SOOM Movement


숨 무브먼트 SOOM Movement


2002년 안무가 국은미와 연출가 권병철에 의해 창단.

즉흥성과 음악적 구성을 치밀하게 결합해내는 무용을 주로 만들어왔다. 무용수의 실존성의 밀도를 높이고, 자기 신체의 주인이 되는 춤, 이야기나 주제가 아니라 신체가 춤의 주체가 되는 공연을 추구한다. 영화적 공간 창출이나, 영화적 이미지와의 병치나 교류를 통해 이러한 실존성의 콘트라스트를 높이는 기법도 많이 사용한다.

 

안무_국은미(鞠銀美)

안무가 국은미는 이화여대 졸업, NYU Tisch 대학원 졸업했다. 2001년부터 국내활동을 시작하여 움직임에 천착하는 안무가 중의 한 명으로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은 소매틱(신체의 자각능력을 향상시켜 신체와 정신의 이분법을 극복하고 신체와 마음의 유기적 연결을 도모하는 기법)적 접근법을 통한 무용수 훈련을 통해 춤의 질적 변화를 꾀하고 있다.

 

1998년 New York University, Tisch School of the Arts MFA

1994년 이화여자대학교 및 동대학원 졸업

2002년-현재, 숨 무브먼트 대표

 

주요공연활동

2012 ‘내밀의 무한’ SPAF서울국제공연예술제 초청작,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서울, 60분

2011 ‘전신화’, 서울문화재단 다원예술창작활성화 지원작, 서강대메리홀 소극장, 서울, 60분

2010 ‘플루랄’ 스몰시어터, 안애순무용단홀, 서울, 20분

2009 ‘몸의 몽상’ 모다페, 아르코 소극장, 서울, 25분

2009 ‘작아진 우주’ 춤과의식전, M극장, 서울, 25분

2007 ‘물을 담은 하늘’ Three Colors, 나루아트센터, 서울, 25분

2006 ‘불안’ 제 11회 바뇰레 서울안무대회, 국민대학교 대극장, 서울, 60분

2005 국은미 개인공연 ‘불안’ 서울문화재단 공연제작지원작, 서강대학교 메리홀, 서울, 60분

2005 ‘공기의 꿈’ in International Dance Collaboration, 문예진흥원 국제교류지원작, Mapo die Pratze, 동경, 60분

2005 '공기의 꿈‘ 앵콜공연 문예진흥원 창작활성화 사후지원작, 서강대학교 메리홀, 60분

2004 국은미 개인공연 ‘공기의 꿈’ 문예진흥원 예술창작지원작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60분

2004 ‘적의 자유’ 한국현대예술제 2004, Mapo die Pratze, 동경, 20분

2004 제 4회 서울국제크로스오버 즉흥춤축제 참가

2004 ‘소로산보’ 한일댄스페스티발. 서울, 문예회관 소극장, 25분

2003 ‘침색’ 스텝과의 만남, 동경, Morisita Studio, 15분

2003 국은미 개인공연 ‘흐르는 사이-사막의 낮과 밤’ 문예진흥원 신진예술가지원작, 서울, 씨어터제로극장, 60분

2002 ‘25분’ 제 6회 평론가가 뽑은 젊은 무용가전, 서울, 문예회관 대극장, 30분

2002 ‘소로산보’ 제 22회 국제현대무용제, 서울, 문예회관 소극장, 25분

2002 ‘Solo' 제 21회 국제현대무용제, 서울, 문예회관 대극장, 30분

 

연출_권병철

무용연출가이며 영화감독인 권병철은 현대무용을 기반으로 하는 다원예술 작품을 수차례 공연했다. 현대무용가 국은미와 숨무브먼트라는 단체를 만들어 2002년 솔로라는 작품에서부터 2011년의 무용수의 신체와 움직임, 그리고 그것을 녹화하거나 실시간 영사와 병행하는 작품을 발표했다. 무용수의 실존성이 다양한 층위에서 공존하게 함으로써, 그 콘트라스트를 통해 분열적인 현대의 실존성의 특성을 무대 위에 구현해 왔다. 이번에는 갤러리 형태의 대안공간에서 설치를 중심으로 영화와 무용을 결합하는 좀 더 전향적인 형식의 다원예술을 추구한다.

 

1993년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2000년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Film/Video MFA 예술실기석사 취득

2002년-현재, 숨 무브먼트 연출

현재, 상명대학교 영상학부 영화영상전공 교수

 

주요활동

2012 ‘내밀의 무한’ SPAF서울국제공연예술제 초청작,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서울, 60분

2011 ‘전신화’, 서울문화재단 다원예술창작활성화 지원작, 서강대메리홀 소극장, 서울, 60분

2011 낯선 살결, 장편극영화 시나리오, 연출 개인

2010 ‘플루랄’ 스몰시어터, 안애순무용단홀, 서울, 20분

 

논문저서

2011 춤추는 몸의 영화적 전달, 한국무용기록학회 학회지

2009 CG캐릭터 위주의 영화에서 스테이징에 의한 사실성 증대 효과, 한국콘텐츠 학회지

'Partner Art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은희무용단 KIM EUN HEE DANCE COMPANY  (0) 2013.04.26
서울교방  (0) 2013.04.26
최경실 Spring Dance Theater  (0) 2013.04.26
이재영 LEE, Jae-young  (0) 2013.04.26
홍혜전 HONG, Hye-Jeon  (0) 2013.04.26